메뉴 건너뛰기

Sub Promotion

100세 시대

온타임라이프

ontimelife.com

  1. 노자 도덕경 제3장 老子道德经 第三章

    노자 도덕경 제3장 老子道德经 第三章 노자 도덕경 제3장 원문 不上贤,使民不争;不贵难得之货,使民不为盗;不见可欲,使民不乱。 是以圣人之治也,虚其心,实其腹,弱其志,强其骨,恒使民无知、无欲也。 使夫知不敢、弗为而已,则无不治矣。 번역 유능한 ...
    Date2025.07.22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2. 노자 도덕경 제4장 老子道德经 第四章

    노자 도덕경 제4장 老子道德经 第四章 노자 도덕경 제4장 원문 (중국어) 道冲,而用之有弗盈也。渊呵,似万物之宗。锉其兑,解其纷,和其光,同其尘。湛呵,似或存。吾不知其谁之子,象帝之先。 직역 도(道)는 비어 있지만, 그것을 사용해도 다 차지 않는다. ...
    Date2025.07.22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3. 노자 『도덕경』 제5장 老子道德经 第五章

    노자 『도덕경』 제5장 老子道德经 第五章 노자 『도덕경』 제5장 원문 (한문) 天地不仁,以萬物爲芻狗; 聖人不仁,以百姓爲芻狗。 天地之間,其猶橐龠乎? 虛而不屈,動而愈出。 多言數窮,不如守中。 현대 한국어 번역 하늘과 땅은 인자하지 않다. 만물을 ...
    Date2025.07.22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4. 노자 『도덕경』 제6장 老子道德经 第六章

    노자 『도덕경』 제6장 老子道德经 第六章 노자 『도덕경』 제6장 원문 (한문) 谷神不死,是谓玄牝。 玄牝之门,是谓天地之根。 绵绵呵!其若存!用之不堇。 (현대 중국어 해석 기준) 만물을 낳고 기르는 골짜기의 신(도)은 죽지 않는다. 이것을 "현묘한 암컷"...
    Date2025.07.22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5. 노자『도덕경』 제7장 老子道德经 第七章

    노자『도덕경』 제7장 老子道德经 第七章 노자『도덕경』 제7장 원문 天長,地久。 天地之所以能長且久者, 以其不自生也,故能長生。 是以聖人後其身而身先, 外其身而身存。 非以其無私邪?故能成其私。 현대어 번역 하늘은 오래가고, 땅도 오래 존재한다. ...
    Date2025.07.22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6. 노자 도덕경 제8장 老子道德经 第八章

    노자 도덕경 제8장 老子道德经 第八章 노자 도덕경 제8장 원문 상선약수 수선이만물이용 불쟁 처중인지소오 고기어도 거선지 심선연 여선인 언선신 정선치 사선능 동선시 부유불우 가장 좋은 덕을 가진 사람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되 다투지 않는...
    Date2025.07.22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7. 노자 도덕경 제9장 老子道德经 第九章

    노자 도덕경 제9장 老子道德经 第九章 노자 도덕경 제9장 원문 가득 채우려고 붙잡는 것보다 그만두는 것이 낫다. 쇠를 두드려 날카롭게 하면 오래 가지 못한다. 집에 금은보화가 가득해도 지킬 수 없다. 부귀로 교만해지면 스스로 화를 자초한다. 일이 이루어...
    Date2025.07.22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8. 노자 도덕경 제10장 老子道德经 第十章

    노자 도덕경 제10장 老子道德经 第十章 노자 도덕경 제10장 【원문】 載營魄抱一,能無離乎? 專氣致柔,能如嬰兒乎? 滌除玄鑒,能無疵乎? 愛民治國,能無為乎? 天門開闔,能為雌乎? 明白四達,能無知乎? 生之畜之,生而不有, 為而不恃,長而不宰, 是謂...
    Date2025.07.22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9. 노자 도덕경 제11장 老子道德经 第十一章

    노자 도덕경 제11장 老子道德经 第十一章 노자 도덕경 제11장 【원문】 三十辐共一毂, 当其无,有车之用。 埏埴以为器, 当其无,有器之用。 凿户牖以为室, 当其无,有室之用。 故有之以为利, 无之以为用。 [직역 및 해석] 삼십 개의 바퀴살(辐)이 하나의 ...
    Date2025.07.22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10. 노자 『도덕경』 제12장老子道德经 第十二章

    노자 『도덕경』 제12장 老子道德经 第十二章 노자 『도덕경』 제12장 원문 五色令人目盲; 五音令人耳聾; 五味令人口爽; 馳騁畋獵,令人心發狂; 難得之貨,令人行妨。 是以聖人爲腹不爲目,故去彼取此。 다섯 가지 빛깔은 사람의 눈을 멀게 하고, 다섯 가...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11. 노자 『도덕경』 제13장 老子道德经 第十三章

    노자 『도덕경』 제13장 老子道德经 第十三章 노자 『도덕경』 제13장 원문 宠辱若惊,贵大患若身。 何谓宠辱若惊?宠为下,得之若惊,失之若惊,是谓宠辱若惊。 何谓贵大患若身?吾所以有大患者,为吾有身;及吾无身,吾有何患? 故贵以身为天下,若可寄天下...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12. 노자 『도덕경』 제14장 老子道德经 第十四章

    노자 『도덕경』 제14장 老子道德经 第十四章 노자 『도덕경』 제14장 原文 (원문): 시지불견(視之不見), 명왈이(名曰夷);청지불문(聽之不聞), 명왈희(名曰希);박지부득(搏之不得), 명왈미(名曰微)。 차삼자(此三者), 불가치힐(不可致詰), 고혼이위일(故混而...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13. 노자 『도덕경』 제15장 老子道德经 第十五章

    노자 『도덕경』 제15장 老子道德经 第十五章 노자 『도덕경』 제15장 옛날 도(道)를 잘 실천한 사람은 심오하고 오묘하여 헤아리기 어려웠다. 그들을 제대로 알 수 없었기에, 억지로 그들의 모습을 이렇게 묘사할 수 있을 뿐이다: 조심스럽기는 겨울에 강을 ...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14. 노자 도덕경 제16장 老子道德经 第十六章

    노자 도덕경 제16장 老子道德经 第十六章 노자 도덕경 제16장 원문 (한자) 致虛極,守靜篤; 萬物並作,吾以觀復。 夫物芸芸,各復歸其根。 歸根曰靜,靜曰復命, 復命曰常,常曰明。 不知常,妄作凶。 知常容,容乃公, 公乃全,全乃天, 天乃道,道乃久, 沒...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15. 노자 도덕경 제17장 老子道德经   第十七章

    노자 도덕경 제17장 老子道德经 第十七章 노자 도덕경 제17장 원문 太上,不知有之; 其次,亲而誉之; 其次,畏之; 其次,侮之。 信不足焉,有不信焉。 悠兮,其贵言。 功成事遂,百姓皆谓“我自然”。 번역 최고의 군주는 백성들이 그 존재를 모른다. 그 다음...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16. 노자 도덕경 제18장 老子道德经   第十八章

    노자 도덕경 제18장 老子道德经 第十八章 노자 도덕경 제18장 원문 大道废,有仁义; 智慧出,有大伪; 六亲不和,有孝慈; 国家昏乱,有忠臣。 도가 사라지면 인의가 나타나고, 지혜가 나오면 큰 거짓이 생기며, 가족 간 불화가 있으면 효와 자비가 생기고, ...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17. 노자 도덕경 제19장 老子道德经 第十九章

    노자 도덕경 제19장 老子道德经 第十九章 노자 도덕경 제19장 원문 절성(절성) 버리고 지혜를 버리면 백배의 이익이 있다. 절인의(절인의) 버리고 의를 버리면 백성들이 다시 효와 자비를 회복한다. 절교(절교) 버리고 이익을 버리면 도둑과 도적이 없어진다. ...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18. 노자 도덕경 제20장 老子道德经 第二十章

    노자 도덕경 제20장 老子道德经 第二十章 노자 도덕경 제20장 원문 唯之与阿,相去几何? 美之与恶,相去若何? 人之所畏,不可不畏。 荒兮,其未央哉! 众人熙熙,如享太牢,如春登台。 我独泊兮,其未兆; 沌沌兮,如婴儿之未孩; 傫傫兮,若无所归。 众人皆...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19. 노자 도덕경 제21장 老子道德经   第二十一章

    노자 도덕경 제21장 老子道德经 第二十一章 노자 도덕경 제21장 원문 孔德之容,惟道是从。 道之为物,惟恍惟惚。 惚兮恍兮,其中有象; 恍兮惚兮,其中有物; 窈兮冥兮,其中有精; 其精甚真,其中有信。 自今及古,其名不去,以阅众甫。 吾何以知众甫之状哉...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20. 노자 『도덕경』 제22장 老子道德经 第二十二章

    노자 『도덕경』 제22장 老子道德经 第二十二章 노자 『도덕경』 제22장 原文 (한문 원문) 曲則全,枉則直,洼則盈,敝則新,少則得,多則惑。 是以聖人抱一為天下式。 不自見,故明;不自是,故彰;不自伐,故有功;不自矜,故長。 夫唯不爭,故天下莫能與之...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21. 노자 도덕경 제23장 老子道德经 第二十三章

    노자 도덕경 제23장 老子道德经 第二十三章 노자 도덕경 제23장 【원문】 希言自然。 故飄風不終朝,驟雨不終日,孰為此者?天地。 天地尚不能久,而況於人乎? 故從事於道者同於道;德者同於德;失者同於失。 同於道者,道亦樂得之; 同於德者,德亦樂得之; ...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22. 노자 도덕경 제24장 老子道德经 第二十四章

    노자 도덕경 제24장 老子道德经 第二十四章 노자 도덕경 제24장 【원문】 企者不立,跨者不行; 自见者不明;自是者不彰; 自伐者无功;自矜者不长。 其在道也,曰余食赘形。 物或恶之,故有道者不处。 【직역】 발뒤꿈치를 들고 서려는 자는 제대로 설 수 없...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23. 노자 도덕경 제25장 老子道德经 第二十五章

    노자 도덕경 제25장 老子道德经 第二十五章 노자 도덕경 제25장 원문: 有物混成,先天地生。 寂兮寥兮,独立而不改, 周行而不殆,可以为天地母。 吾不知其名,强字之曰:道, 强为之名曰:大。 大曰逝,逝曰远,远曰反。 故道大,天大,地大,人亦大。 域中有...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24. 노자 도덕경 26장 老子道德经 第二十六章

    노자 도덕경 26장 老子道德经 第二十六章 노자 도덕경 26장 원문: 무거움이 가벼움의 뿌리이고, 고요함이 동요의 주인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종일 행하더라도 수레짐을 떠나지 않는다. 비록 화려한 구경거리가 있어도 편안히 머무르며 초연하다. 어찌 만승(만 ...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25. 노자 『도덕경』 제27장 老子道德经 第二十七章

    노자 『도덕경』 제27장 老子道德经 第二十七章 노자 『도덕경』 제27장 원문 善行,无辙迹;善言,无瑕谪;善数,不用筹策;善闭,无关楗而不可开;善结,无绳约而不可解。 是以圣人常善救人,故无弃人;常善救物,故无弃物。是谓袭明。 故善人者,不善人之师...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26. 노자 도덕경  제28장 老子道德经   第二十八章

    노자 도덕경 제28장 老子道德经 第二十八章 노자 도덕경 제28장 [원문] 知其雄,守其雌,為天下溪。 為天下溪,常德不離,復歸於嬰兒。 知其白,守其黑,為天下式。 為天下式,常德不忒,復歸於無極。 知其榮,守其辱,為天下谷。 為天下谷,常德乃足,復歸於...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27. 노자 도덕경 제29장 老子道德经   第二十九章

    노자 도덕경 제29장 老子道德经 第二十九章 노자 도덕경 제29장 【원문】 將欲取天下而為之,吾見其不得已。 天下神器,不可為也,不可執也。 為者敗之,執者失之。 是以聖人無為,故無敗;無執,故無失。 夫物或行或隨,或歔或吹,或强或羸,或載或隳。 是以...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28. 노자 도덕경 제30장 老子道德经 第三十章

    노자 도덕경 제30장 老子道德经 第三十章 노자 도덕경 제30장 [본문 번역] 도(道)의 원칙에 따라 임금을 보좌하는 자는 무력(武力)으로 천하를 제압하려 하지 않는다. 무력을 쓰는 일은 반드시 되갚음을 받게 된다. 군대가 머문 곳에는 가시덤불이 돋아나고, ...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29. 노자  도덕경  제31장  老子道德经 第三十一章

    노자 도덕경 제31장 老子道德经 第三十一章 노자 도덕경 제31장 [원문] 무릇 병기(兵器)란 불길한 기구이니, 만물은 그것을 싫어하므로, 도(道)를 아는 자는 병기 가까이에 머물지 않는다. 군자는 거처할 때는 좌(左)를 귀하게 여기고, 전쟁을 할 때는 우(右)...
    Date2025.07.21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30. 노자 『도덕경』 제32장, 老子道德经 第三十二章

    노자 『도덕경』 제32장 老子道德经 第三十二章 노자 『도덕경』 제32장 【원문】 道常无名,朴。虽小,天下莫能臣。 侯王若能守之,万物将自宾。 天地相合,以降甘露,民莫之令而自均。 始制有名,名亦既有,夫亦将知止,知止可以不殆。 譬道之在天下,犹川谷...
    Date2025.07.20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31. 노자 도덕경 제33장 老子道德经 第三十三章

    노자 도덕경 제33장 老子道德经 第三十三章 노자 도덕경 제33장 [한문 원문] 知人者智,自知者明。 胜人者有力,自胜者强。 知足者富,强行者有志, 不失其所者久,死而不亡者寿。 남을 아는 자는 지혜롭고, 자신을 아는 자가 밝다. 남을 이기는 자는 힘이 있...
    Date2025.07.20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32. 노자 『도덕경』 제34장 老子道德经   第三十四章

    노자 『도덕경』 제34장 老子道德经 第三十四章 노자 『도덕경』 제34장 [한문 원문] 大道汜兮,其可左右。 万物恃之以生而不辞,功成而不有。 衣养万物而不为主,常无欲,可名于小; 万物归焉而不为主,可名为大。 以其终不自为大,故能成其大。 큰 도(道)는 ...
    Date2025.07.20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33. 노자 『도덕경』 제35장 老子道德经 第三十五章

    노자 『도덕경』 제35장 老子道德经 第三十五章 노자 『도덕경』 제35장 [한문 원문] 執大象,天下往。 往而不害,安平太。 樂與餌,過客止。 道之出口,淡乎其無味, 視之不足見,聽之不足聞, 用之不足既。 큰 형상을 붙잡으면, 온 세상이 그에게로 모여든다...
    Date2025.07.20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34. 노자 『도덕경』 제36장 老子道德经 第三十六章

    노자 『도덕경』 제36장 老子道德经 第三十六章 노자 『도덕경』 제36장 [원문] 将欲歙之,必固张之; 将欲弱之,必固强之; 将欲废之,必固兴之; 将欲取之,必固与之。 是谓微明。柔弱胜刚强。 鱼不可脱于渊,国之利器不可以示人。 무언가를 거두려면, 먼저 ...
    Date2025.07.20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35. 노자 『도덕경』 제37장 b老子道德经   第三十七章

    노자 『도덕경』 제37장 老子道德经 第三十七章 노자 『도덕경』 제37장 [원문] 道常无为而无不为。 侯王若能守之,万物将自化。 化而欲作,吾将镇之以无名之朴。 镇之以无名之朴,夫将不欲。 不欲以静,天下将自定。 도는 항상 무위(無爲)로 행하지만, 하지 ...
    Date2025.07.20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36. 노자 『도덕경』 제38장 老子道德经   第三十八章

    노자 『도덕경』 제38장 老子道德经 第三十八章 노자 『도덕경』 제38장 원문 (제38장) 上德不德,是以有德; 下德不失德,是以无德。 上德无为而无以为; 下德无为而有以为。 上仁为之而无以为; 上义为之而有以为。 上礼为之而莫之应,则攘臂而扔之。 故失道...
    Date2025.07.20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37. 노자 『도덕경』 제39장 老子道德经   第三十九章

    노자 『도덕경』 제39장 老子道德经 第三十九章 노자 『도덕경』 제39장 제39장 원문 (한자) 昔之得一者, 天得一以清;地得一以宁; 神得一以灵;谷得一以盈; 万物得一以生;侯王得一以为天下正。 其致之也,谓: 天无以清,将恐裂; 地无以宁,将恐废; 神...
    Date2025.07.20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38. 노자 『도덕경』 제40장 老子道德经   第四十章

    노자 『도덕경』 제40장 老子道德经 第四十章 노자 『도덕경』 제40장 [원문] 反者道之动,弱者道之用。 天下万物生于有,有生于无。 [번역] 되돌아감은 도(道)의 움직임이요, 부드러움은 도의 작용이다. 천하의 만물은 ‘있음(有)’에서 생기고, ‘있음’은 ‘없음...
    Date2025.07.20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39. 노자 『도덕경』 제41장 老子道德经 第四十一章

    노자 『도덕경』 제41장 老子道德经 第四十一章 노자 『도덕경』 제41장 [원문] 상사문도(上士聞道) 근이행지(勤而行之) 중사문도(中士聞道) 약존약망(若存若亡) 하사문도(下士聞道) 대소지(大笑之) 불소부족이위도(不笑不足以為道) 고건언유지(故建言有之) 명...
    Date2025.07.20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40. 노자 『도덕경』 제42장 老子道德经   第四十二章

    노자 『도덕경』 제42장 老子道德经 第四十二章 노자 『도덕경』 제42장 【한문 원문】 道生一,一生二,二生三,三生萬物。 萬物負陰而抱陽,沖氣以爲和。 人之所惡,唯孤、寡、不穀,而王公以爲稱。 故物或損之而益,或益之而損。 人之所教,我亦教之。 强梁...
    Date2025.07.20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41. 노자 『도덕경』 제43장 老子道德经  第四十三章

    노자 『도덕경』 제43장 老子道德经 第四十三章 노자 『도덕경』 제43장 【원문】 天下之至柔,驰骋天下之至坚。 无有入无间,吾是以知无为之有益。 不言之教,无为之益,天下希及之。 【직역】 세상에서 가장 부드러운 것이 세상에서 가장 단단한 것을 달린다...
    Date2025.07.20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42. 노자  도덕경 제44장 老子道德经   第四十四章

    노자 도덕경 제44장 老子道德经 第四十四章 노자 도덕경 제44장 【원문】 名与身孰亲? 身与货孰多? 得与亡孰病? 甚爱必大费, 多藏必厚亡。 故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长久。 【직역】 이름과 몸 중 어느 것이 더 가까운가? 몸과 재물 중 어느 것이 더 ...
    Date2025.07.20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43. 노자 도덕경 제45장老子道德经  第四十五章

    노자 도덕경 제45장 老子道德经 第四十五章 노자 도덕경 제45장 【원문】 大成若缺,其用不弊; 大盈若冲,其用不穷。 大直若屈,大巧若拙, 大辩若讷。 静胜躁,寒胜热。 清静为天下正。 【직역】 큰 완성은 부족한 것 같아도, 그 쓰임은 쇠하지 않는다. 큰 ...
    Date2025.07.20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44. 노자 도덕경 제46장 老子道德经  第四十六章

    노자 도덕경 제46장 老子道德经 第四十六章 노자 도덕경 제46장 【원문】 天下有道,卻走馬以糞; 天下無道,戎馬生於郊。 禍莫大於不知足; 咎莫大於欲得。 故知足之足,常足矣。 천하에 도가 있으면, 달리던 전마(戰馬)를 물려 밭을 가는 데 쓰고, 천하에 도...
    Date2025.07.20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45. 노자 도덕경 제47장 老子道德经 第四十七章

    노자 도덕경 제47장 老子道德经 第四十七章 노자 도덕경 제47장 [원문] 不出户,知天下; 不窥牖,见天道。 其出弥远,其知弥少。 是以圣人不行而知, 不见而明,不为而成。 [직역 번역] 문밖에 나가지 않고도 천하를 알 수 있으며, 창문을 엿보지 않고도 하늘...
    Date2025.07.20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46. 노자 도덕경 제48장 老子道德经  第四十八章

    노자 도덕경 제48장 老子道德经 第四十八章 노자 도덕경 제48장 [원문] 爲學日益, 爲道日損, 損之又損,以至於無爲。 無爲而無不爲。 取天下常以無事; 及其有事, 不足以取天下。 [직역 번역] 학문을 함은 날마다 더해지고, 도를 따름은 날마다 덜어진다. ...
    Date2025.07.20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47. 노자 『도덕경』 제49장 老子道德经 第四十九章

    노자 『도덕경』 제49장 老子道德经 第四十九章 원문 (한문) 聖人常無心,以百姓之心爲心。 善者,吾善之;不善者,吾亦善之,德善。 信者,吾信之;不信者,吾亦信之,德信。 聖人在天下,歙歙焉,爲天下渾其心。 百姓皆注其耳目,聖人皆孩之。 성인은 늘 사...
    Date2025.07.19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48. 노자 도덕경 50장 老子道德经 第五十章

    노자 도덕경 50장 老子道德经 第五十章 원문: 출생입사(出生入死), 생지도(生之徒) 십유삼(十有三); 사지도(死之徒) 십유삼; 인지생(人之生), 동지어사지지(动之于死地) 역십유삼. 부하지(夫何故)? 이기생생지후(以其生生之厚). 개문선섭생자(盖闻善摄生者), ...
    Date2025.07.19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49. 노자 도덕경 51장 老子道德经 第五十一章

    노자 도덕경 51장 老子道德经 第五十一章 원문: 道生之,德畜之,物形之,势成之。 是以万物莫不尊道而贵德。 道之尊,德之贵,夫莫之命而常自然。 故道生之,德畜之,长之育之,亭之毒之;养之覆之。 生而不有,为而不恃,长而不宰,是谓玄德。 번역: 도(道)...
    Date2025.07.19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50. 노자『도덕경』 제52장

    노자『도덕경』 제52장 원문 (한자): 天下有始,以为天下母。 既得其母,以知其子;既知其子,复守其母,没身不殆。 塞其兑,闭其门,终身不勤。 开其兑,济其事,终身不救。 见小曰明,守柔曰强。 用其光,复归其明,无遗身殃;是为袭常。 세상 만물에는 시작...
    Date2025.07.19 Category :도덕경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Varsovia No. 44 Desp. 1002 Col. Juárez Del. Cuauhtémoc C.P. 06600 CDMX
55 1313 8389
+52 7777 44 7777
moon@ontimelife.com